책과의 행복한 만남이 있는 곳 진천군립도서관입니다.
유럽 정신사의 기본 개념 10권. 진리에 관해 여러 다양한 철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으며, 역사의 실마리를 따라가며 사유가 진리 개념을 중심으로 묶여 있는 그런 중요한 상황들을 설명한다. 철학이 진리라는 개념 영역을 해명할 때는 인접 영역의 내용과 관계된 표현들에서 대부분 모습을 드러낸다. 1장에서는 드레퓌스 사건을 통해 관심과 제도가 서로 진리 개념에 대해 바라는 것이 다를 때 이런 기대들이 어떻게 연결되며 또 어떻게 갈등에 빠지고 서로 보완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2장에서는 고대 그리스 철학이 진리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3장에서는 근세 초기 진리 개념을 둘러싸고 코페르니쿠스가 쓴 책에서 촉발되어 신학과 과학, 철학 사이에 벌어진 논쟁을 주로 다룬다. 4장은 19세기 후반 진리 개념에 대한 논리학적 관심이 새롭게 부상한 것에 대해 다루고, 진리 개념에 대한 알프레드 타르스키의 정의가 20세기에 진리를 두고 벌인 이론적 논쟁에서 갖는 중요성을 요약한다. 5장에서는 앎과 진리를 근원적으로 연결한 플라톤 식 철학에 대한 프리드리히 니체의 반박을 도덕의 계보학적 관점에서 다룬다.
도서정보 상세보기 [NAVER 제공]